목록진정한 투자/[자산 공부] (16)
S_Diary
자산은 언제 팔았어야 가장 이득이었을까요? 만약 자신이 1970년대 강남에 노른자 땅을 가지고 있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언제 팔았어야 가장 큰 이익을 취했을까요? 1980년대? 아니면 1997년 IMF가 터졌을 때? 2008년 금융위기 때? 2020년 팬데믹이 터졌을 때? ▶ 미래 가치가 훌륭한 자산은 언제 팔았던 손해입니다 정답은 언제 팔았든 손해입니다. 화폐 가치 하락으로 인해 훌륭한 자산은 계속해서 상승하기 때문입니다. 자신이 만약 1970년대 강남에 땅을 샀다면 지금까지도 팔았으면 안 됐고 앞으로도 팔 이유가 없습니다. 이건 주식 시장도 마찬가지입니다. 기업이 망가져서 기업의 가치가 훼손되지 않는 이상 팔 필요가 없습니다. 워런 버핏이 코카콜라를 아직까지도 가지고 있는 이유입니다. 필립 피셔는..
미국 주식 시장에 투자를 하면 발생한 수익의 22%를 양도 소득세로 내야 합니다. 그런데도 왜 미국 주식에 투자해야만 할까요? 왜냐하면 가장 확실한 투자처이자 세계 최고의 시장이기 때문입니다. 미국 주식 시장은 지난 100년간 계속해서 우상향 해왔습니다. 경제 사이클이 반복되면서 수십 번의 하락이 있었지만, 긴 역사로 보면 기세가 꺾이지 않고 계속해서 우상향하고 있습니다. 최근 10년을 봐보겠습니다. 2012년 12월 한국 코스피 종가 1,997 Point → 2022년 최고점 3,316 Point (현재 : 2,300 Point) 2012년 12월 미국 S&P 500 종가 1,426 Point → 2022년 최고점 4,818 Point (12월 : 3,941 Point) 2012년 12월 미국 나스닥 ..
장기적으로 훌륭한 투자 대상을 찾을 때, 성장하는 시장에 들어가 있는 것은 기본입니다. 시장 자체가 성장하지 않는다면 투자할 이유가 없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건, 성장하는 시장에서 1등 기업 혹은 1등이 될 만한 경쟁력을 갖춘 기업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것이 훌륭한 미국 성장주를 투자하는 중요한 항목입니다. ▶ 시장의 1등 기업에 투자해야 하는 이유 왜 시장의 1등 기업에 투자해야 할까요? 이를 위해 일상적인 예를 하나 들어보겠습니다. 예전 한창 수제 맥주가 유행할 때가 있었습니다. 수제 맥주가 유행할 때 동네에만 5개가 생겼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1등 말고는 다 사라졌고, 수요는 모두 1등에게 흡수되었고 가치가 엄청나게 성장했습니다. 이와 같은 예는 무수히 많습니다. 보통 성장하는..
앞서 기업의 미래 현금 흐름을 구했다면 PEG , PER을 바탕으로 미래 예상 주가를 구할 수 있습니다. 미래 예상 주가를 구하는 것은 자신만의 공부와 자료 검토가 끝났다면 단순한 산수 정도로 구할 수 있습니다. 예시를 통해 미래 예상 주가를 구해보겠습니다. ▶ 미래에 예상되는 주가는? A라는 기업은 자동차를 판매하고 있습니다. 조사 결과, 자동차 시장은 2030년 10조 달러의 규모로 형성이 됩니다. 기업의 분기 보고서와 판매량 추이를 보니 약 15%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습니다. A 기업의 현재 매출은 700억 달러이고, 순이익률은 15%로 순이익 105억 달러입니다. 발행 주식 수는 30억 주로 EPS는 4달러입니다. 그리고 이 기업의 현재 주가는 200 달러이고, 이 기업의 현재 PER은 50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