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 Posts
Link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관리 메뉴

S_Diary

경상이익과 순이익(Net Income)으로 기업의 성장을 알 수 없는 이유 본문

진정한 투자/[재무제표]

경상이익과 순이익(Net Income)으로 기업의 성장을 알 수 없는 이유

Just do it_ 2023. 3. 4. 08:00
반응형

경상이익과 순이익(Net Income)은 손익계산서의 마지막 단계입니다. 경상이익은 기업이 영업을 하는데 지출되는 직접 비용, 간접 비용을 뺀 영업이익(Operating Income)에서 금융 수익과 지출, 기타 수익과 지출을 반영한 이익입니다. 그리고 경상이익에서 기업의 법인세를 제하면 순이익이 산출됩니다. 일반적으로 기업의 순이익을 중요하게 보는 경향이 있으나 사실 순이익은 기업의 성장을 제대로 보여주지 못합니다.

목차
1. 경상이익과 순이익(Net Income)
2. 순이익으로 성장 기업을 판단할 수 없는 이유

 

경상이익과 순이익(Net Income)

 

항목 내용 구분
매출액(Revenue) 기업이 소비자에게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여 얻는 이익
▣ 판매량 x 판매단가
수익
매출원가(Cost of sales) 제품이나 서비스 생산에 있어 반드시 발생하는 비용
▣ 공장 임대료, 설비 감가상각비, 현장 인건비
비용
매출총이익(Gross Profit) = 매출액 - 매출 원가  
매출총이익률(Gross Margin) =매출총이익 ÷ 매출액  
영업지출(Operating expense) 기업이 제품 판매를 위해 지출하는 비용
▣ 마케팅, 광고비용, 사무직원들의 인건비
비용
영업이익(Operating Income) = 매출 총이익 - 영업 지출  
영업이익률(Operating Margin) = 영업이익 ÷ 매출액  
금융수익(Interest Income) 기업이 금융활동으로 얻는 수익 수익
금융비용(Interest expense) 기업이 지출하는 금융 비용(부채 이자) 비용
기타수익(Other Income) 기업의 사업소득 외 수익 수익
기타비용(Other expense) 기타 발생하는 비용 비용
세전순이익(Pretax Income)=경상이익 영업 이익 ± 금융수익, 비용/기타 수익,비용  
소득세(tax Provision) 소득세  
순이익(Net Income) 세전순이익 - 소득세  

 

기업의 경상이익과 순이익은 위 손익계산서의 구조에서 보는 것과 같이 마지막 단계입니다. 기업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여 얻은 매출액에서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조하는 직접 비용인 매출원가(Cost of sales)를 제하면 매출이익(Gross Profit)을 얻을 수 있고, 매출이익에서 영업과 마케팅 비용과 같은 간접 비용을 제하면 영업이익(Operating Income)을 얻을 수 있습니다. 영업이익에서 기업의 금융 수익과 지출, 기타 수익과 지출을 반영하면 세전순이익인 경상이익이 나옵니다. 그리고 기업의 세금을 반영하고 나면 순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순이익으로 성장 기업을 판단할 수 없는 이유

여기 중요한 사실이 하나 있습니다. 경상이익과 순이익에는 기업의 금융 수익과 지출, 사업 외 수익과 지출이 반영된다는 것입니다. 기업의 성장은 크게 급속 성장기와 중기 성장기, 성숙 성장기로 나눌 수 있습니다. 순이익은 기업이 성숙기에 접어들어 성장률이 낮고 안정적이고 꾸준한 현금을 확보하는 성숙 성장 기업과 성장을 끝낸 가치주를 볼 때 유용합니다. 이런 기업들은 설비 확장과 투자에 큰 지출을 하지 않고 대외적인 변수가 적기 때문에 기업의 성장이 아닌 배당을 목적으로 투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순이익과 함께 기업의 현금흐름표(Cash Flow), 재무상태표(Statement of Financial Position)를 통홰 기업의 재산 상태와 현금 보유량을 점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성장하는 기업을 볼 때는 경상이익과 순이익으로 판단해서는 안 됩니다. 특히 초기 성장 기업일수록 사업 외 소득으로 인해 기업의 성장 왜곡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기업의 미래 내재 가치는 핵심 비즈니스의 성장으로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하지만 초기 성장 기업은 대부분 순이익, 영업이익이 적자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경우 훌륭한 성장 기업을 순이익만으로 잘 못 판단하여 놓칠 수 있습니다. 반대로 기업의 핵심 산업은 성장하지 않는데 기업이 자산 운용(=투자)을 잘해 순이익이 증가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일회성 수익은 기업의 펀더멘탈과 관련 없기 때문에 기업의 순이익이 증가했다고 기업의 미래 가치가 성장한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A 기업의 사업은 매출 200억, 순이익 20억으로 순이익률 10%의 기업입니다. 분기 실적을 확인해 보니 매출은 200억으로 동일했으나 순이익은 40억으로 올랐다고 해보겠습니다. 매출 이익, 영업 이익을 점검한 결과 지난 분기와 비슷합니다. 순이익이 상승한 이유가 사업의 성장이 아닌 투자 자산의 가격이 올라 20억을 추가로 벌어들인 것입니다.  이 경우 일회성 비용으로 순이익이 일시적으로 증가한 것일 뿐 기업은 성장한 것이 아닙니다. 반대로 훌륭한 성장 기업이 설비 확장과 기타 일회성 비용 지출로 인해 적자로 전환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순이익만으로 기업의 성장을 판단하는 것은 오류를 범할 수 있습니다. 기업의 순이익에는 기업의 핵심 산업 외 수익이 반영된다는 점을 인지하고 기업의 특성에 맞게 활용해야겠습니다.

 

추가적으로 뉴스를 보면 특정 기업의 순이익 흑자전환 또는 적자전환과 같은 기사를 접할 수 있습니다. 순이익은 기업의 영업 외 소득이 포함되기 때문에 특히 성장주라면 순이익으로 기업을 판단해서는 안 됩니다. 이를 차치하고 투자하는 기업의 실적은 뉴스로 접할 것이 아닙니다. 기업의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는 손바닥 보듯 해야 하며, 실적의 모든 항목을 철저하게 봐야 합니다. 그리고 스스로 판단해야 합니다. 

반응형
Comments